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연말 정산 3 대장 연금저축 IRP ISA 이용해서 절세하는 법(2)

by ●◇±\…¨〃 2022. 2. 10.
반응형

지난 포스팅에서는 연말정산의 3대 장인 연금저축, IRP, ISA의 목적과 차이점 그리고 주의사항에 대해서 설명드렸습니다. 오늘은 복잡한 연금 저축, IRP, ISA 3대 금융 상품이 주는 세제 혜택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13월의 월급을 기대했지만, 오히려 세금폭탄을 맞으신 분들 포스팅 잘 보시고 알맞은 금융 상품 찾으셔서 세제 혜택 누리시길 바라겠습니다. 

 

돈-널려있는-사진
절세

 

☞연금 저축과 IRP의 세제 혜택

우선 노후 대비 자금이라고 할 수 있는 연금 저축과 IRP 상품의 세제 혜택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원천징수에 따라서 받게 되는 세액공제액이 다른데, 우선 납입 한도는 연금저축과 IRP를 모두 합해서 1년에 1800만 원입니다. 그리고 총급여가 1.2억 원을 초과할 경우 각 각 연금저축 같은 경우 300만 원, IRP의 경우 700만 원이 세액공제 대상 금액이 됩니다. 그리고 연금저축과 IRP 상품을 모두 운용할 경우, 연금저축 300만 원, IRP 400만 원으로 총 700만 원이 세액 공제 대상 금액이 됩니다. 세액공제율은 13.2%로 연간 총 92.4만 원의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반면, 총급여액이 5500만 원을 초과할 경우, 연금저축 400만 원, IRP 700만 원 세액공제 대상 금액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연금저축과 IRP 상품을 모두 운용할 경우 연금저축에서 400만 원, IRP 상품에서 300만 원, 총 700만 원이 세액 공제 대상 금액이고 세액공제율은 13.2%로 결론적으로 세액공제액은 92.4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총 급여액 5500만 원 이하일 경우, 세액공제 대상 금액은 같지만 세액공제율은 16.5%로 달라 총 연간 115.5만 원의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ISA 세제 혜택 

절세 ISA 계좌에서 발생한 이익과 손실을 통합하여 연간 200만 원까지는 비과세이고 서민형 일 경우엔 40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이상의 초과 수익에 대해서는 9.9%의 분리과세를 냅니다. 많다고 생각하실 수 도 있지만, 일반 계좌의 경우 15.4%의 이자 배당소득세율로 내니 세금적인 면에서 혜택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2023년부터는 주식 과세로 인해 5000만 원 이상의 수익에 대해서 22%의 세금을 내야 하지만 ISA 계좌에선 국내 주식, 펀드로 인해 발생한 모든 수익에 대해서 전액 비과세 혜택을 준다고 하니 세제 혜택이 확실한 계좌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ISA가 3년 뒤 만기 됐을 때, 만기 2개월 이내에 연금저축이나 IRP로 전환한다면 납입금액의 10%까지 반영이 되는데 3000만 원을 넣었을 시 300만 원이 세액 공제 대상 금액이 됩니다. 결론적으로 그 해는 연금저축 IRP의 700만 원과 ISA의 300만 원이 합해져 총 세액 공제 대상 금액이 1000만 원으로, 여기에 세액 공제율을 곱해서 세액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연말정산의 3 대장이라고 할 수 있는 연금저축 IRP ISA의 세제 혜택에 대해서 설명을 드렸습니다. 포스팅을 읽어보셔도 이해가 되지 않고 요약을 원하신다면 말씀드리겠습니다. 최대 연간 115만 원 세금 혜택을 받고 싶고 55세까지 최대 연간 700만 원을 안 쓸 수 있다면 연금 저축과 IRP 계좌를 등록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중장기로 보고 필요할 때 원금을 중도 인출할 수 도 있지만, 세제 혜택을 보면서 주식 투자를 하고 싶으신 경우 ISA 계좌를 등록하시면 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다음에도 다양하고 유익한 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

 

 

 

반응형

댓글